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Tip

퇴직금계산기 없이 퇴직금 정확히 계산하는 꿀팁

by 정보학회 2025. 8. 7.

퇴직금계산기

퇴직금계산기를 쓰지 않고도 정확한 퇴직금을 계산하는 법을 알아봅니다. 계산식, 실수하기 쉬운 포인트, 주의할 점까지 실제 사례를 들어 쉽게 설명드립니다.

퇴직금계산기 없이 퇴직금 정확히 계산하는 꿀팁

퇴직금은 어떻게 계산되나?

퇴직금은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법적 권리다. 기본 계산식은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다. 여기서 평균임금은 마지막 3개월간 받은 임금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값이다. 시급제든 월급제든 동일하게 적용된다.

평균임금 계산이 핵심

많은 사람들이 평균임금을 단순히 월급으로 착각하지만, 실제로는 퇴직 직전 3개월 동안 받은 총 임금을 정확히 산정해야 한다. 이 때 기본급뿐만 아니라 상여금, 수당, 연장근로수당 등도 포함된다. 반대로 식대나 교통비 등 비과세 항목은 제외된다.

계산식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월급 250만 원을 받는 근로자가 최근 3개월 동안 총 750만 원을 수령했고, 그 기간 일수가 91일이라면 평균임금은 약 82,418원이다. 이를 기준으로 1년 근속자의 퇴직금은 82,418원 × 30일 = 약 2,472,540원이다. 단순한데도 많은 사람들이 이 계산을 헷갈려 한다.

잘못 계산하기 쉬운 포인트

퇴직금을 계산할 때 실수하기 쉬운 부분은 '근속연수 계산'이다. 1년을 하루라도 넘기면 다음 1년차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1년 1일 근무하면 2년차로 계산되므로 퇴직금은 두 배가 된다. 또한 평균임금을 계산할 때 수당 누락이 잦아 과소지급되는 경우가 많다.

퇴직금 계산 항목 비교표

포함 여부 항목 설명
포함 기본급 매달 고정적으로 받는 급여
포함 연장/야간/휴일 수당 3개월 내 지급된 수당 모두 포함
포함 정기 상여금 정기적이고 고정적인 성격이면 포함
제외 식대/교통비 비과세 항목은 평균임금에서 제외
제외 실비 변상적 수당 출장비 등 실제 사용한 비용은 제외

퇴직 직전 3개월, 중요하게 챙겨야

마지막 3개월의 임금이 퇴직금 전부를 결정짓기 때문에 이 시기를 어떻게 보내느냐가 중요하다. 연장근로나 야간근무가 있다면 수당을 꼭 정식으로 받도록 요청해야 한다. 또한 수당이 늦게 지급돼 이 기간에 포함되지 않는 실수도 잦으므로 급여일도 확인해야 한다.

월급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는?

시급제나 프리랜서 근로자는 매달 임금이 달라 평균임금을 구할 때 더 주의가 필요하다. 이때는 실제 지급된 총액을 3개월 일수로 나누어야 하며, 계약서에 정해진 시간 외 근로가 누락되지 않았는지 꼼꼼히 따져야 한다. 월별 수입 편차가 클수록 손해보기 쉽다.

퇴직금 누락 방지 실전 팁

퇴직 전 3개월의 급여 명세서를 미리 모아두고, 수당 포함 여부를 확인하자. 특히 수기로 계산한 경우에는 엑셀 등을 이용해 평균임금을 반복 계산해보는 것이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그리고 계산 결과는 회사와 꼭 대조해보는 것이 안전하다.

실전 사례: 계산 실수로 60만 원 손해 본 사연

직장인 B씨는 1년 2개월 근무 후 퇴직하며 1년치 퇴직금만 수령했다. 알고 보니 2개월이 더해져야 2년치 퇴직금이 지급되는 상황이었으나, HR팀에서 계산 실수를 했던 것. 직접 계산해본 후 회사에 이의를 제기했고, 부족했던 금액을 추후 지급받았다.

퇴직금 신고 전 꼭 확인해야 할 것

계산기가 없더라도 정확한 계산을 위해선 급여 명세서, 근무기간, 근속연수 등을 직접 점검해야 한다. 실제로 고용노동부에 신고되는 퇴직금 분쟁의 상당수가 ‘계산 차이’에서 비롯된다. 가장 정확한 것은 본인이 직접 수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결론: 계산기를 믿지 말고 직접 계산하자

퇴직금계산기는 편리하지만, 정확한 수치를 위해선 기본 계산식과 평균임금 산정법을 이해해야 한다. 수당 누락, 근속연수 오해, 평균임금 착각만 방지해도 내 퇴직금을 제대로 챙길 수 있다. 직접 계산하는 습관이야말로 가장 확실한 대비책이다.

자주 하는 질문과 답변

Q1. 퇴직금 평균임금에 수당은 무조건 포함되나요?
답변: 정기적이고 고정적인 수당만 포함됩니다. 비과세 수당은 제외됩니다.

Q2. 근속연수는 며칠부터 1년으로 인정되나요?
답변: 1년을 1일이라도 넘기면 1년으로 인정되어 퇴직금 지급 기준이 됩니다.

Q3. 퇴직금계산기랑 실제 지급액이 다른 이유는?
답변: 수당 누락, 일수 오기, 평균임금 계산 실수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댓글